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자정부로고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주요 연구 성과

본 자료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 063-238-0531)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립식량과학원 발간 자료입니다.

바로보기를 클릭하시면 해당 문서를 뷰어로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연구 성과 목록
번호 연도 제목 기관
1479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다분광 카메라를 이용하면 작물 환경(양분결핍)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생육지수로 추출하여 스트레스 진단에 적용 가능함

▣ 성과

  • 벼 양분결핍 스트레스에 의한 다분광 생육 지수 선발 및 효율 검증
    • 다분광 이미지에서 추출한 생육지수들은 다양한 양분결핍 처리구별 분리에 적합한 정확도 확인(R²=0.80)
    • 다분광 생육지수 선발 및 시계열 데이터 분석방법으로 처리구별 분리에 향상된 정확도 확인(R²=0.91)
데이터분석

▣ 파급효과

  • 환경 스트레스 정량화, 벼 디지털 통합 재배시스템에 연계 가능
" target="_blank" title="다분광 생육지수를 활용한 벼 환경 스트레스 측정기술 개발 새창에서 열림"> 다분광 생육지수를 활용한 벼 환경 스트레스 측정기술 개발
1478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관개시스템 실치비용 절감 및 관수자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지중점적관 국산 기술 개발 필요

▣ 성과

  • 노지 관개용 복합기능의 지중점적관 국내 최초 개발
    • 유량균등성 95%, 낙수방지기능 65kPa구현, 뿌리막힘 방지기능 탑재 2
  • 개발 지중점적관의 설치기준 및 토양특성별 공급 기준 제시
    • 유량 2.0L/h → 100m 내외 설치(200kPa), 유량 1.2L/h → 140m 설치
  • 드리퍼 부피 40% 수준 → 압력강하 및 원가절감에 유리
개발 국산 점적관

▣ 파급효과

  • 노지 밭작물 관수자재 원천기술 확보 및 정밀 물관리 기술 확립
" target="_blank" title="노지 밭작물 관수비용 절감을 위한 지중점적관 국산화 기술 개발 새창에서 열림"> 노지 밭작물 관수비용 절감을 위한 지중점적관 국산화 기술 개발
1477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5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노동 집약적 생산관리에서 스마트 기술 전환의 생산기반 마련 필요

▣ 성과

  • 테스트베드 적용기술: 지중점적, 땅속배수, 기계화, 스마트트랩, 드론방제, 통합관제 시스템
  • 노동력 절감 및 수량증대 효과
    • (노동력) 53% 절감(스마트재배 35.5시간/ha, 대조구 75.9시간/ha)
    • (수 량) 15% 증가(스마트재배 328kg/10a, 대조구 285kg/10a)
통합관제시스템
통합관제시스템

▣ 파급효과

  • 노지 스마트농업기반구축으로 농작업, 재배관리 등 노동력 절감
" target="_blank" title="노지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새창에서 열림"> 노지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1476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조명나방은 옥수수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나, 방제가 어려워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

▣ 성과

  • 조명나방 단백질 소화효소(카이모트립신) 억제를 위한 dsRNA 제작
    • 해충 특이적 유전자를 억제하는 dsRNA 제작 기반 기술 확립
  • 대장균 활용 조명나방 카이모트립신 dsRNA 대량생산 기술 확립
    • 고효율, 고순도, 대량 dsRNA 생산기술 확립으로 RNA 살충제 적용 가능
카이모트립신 발현 억제 과정

▣ 파급효과

  • 조명나방 특이적인 RNA 살충제 개발 기술 확보 및 기반 구축
" target="_blank" title="소화효소 발현 억제 기술을 활용한 조명나방 방제 효과 구명 새창에서 열림"> 소화효소 발현 억제 기술을 활용한 조명나방 방제 효과 구명
1475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가루쌀 재배확대에 따른 우량종자 증식 및 수발아·저장성 등 재배안정성이 향상된 품종이 요구됨
    * 가루쌀 재배 목표: (’22) 0.1천ha → (’23) 2 → (’24) 10 → (’26) 42.1

▣ 성과

  • (종자생산) ’23년 2천ha 재배용 종자 113톤 확보(농진원 공동)
    * 채종포 21.2ha: 식량원(철원·계화·영덕) 6.7, 신기술이용촉진(5개 도원) 3.0, 민간 11.5
  • (품종개선) ‘바로미2’ 수발아 개선 우량계통 선발 및 QTL 분석
    • 저장성과 내수발아성이 향상된 우량계통 ‘전주694호’, ‘전주695호’ 육성
내수발아 우량계통 선발

▣ 파급효과

  • 가루쌀 원료곡의 안정적 생산을 통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기여
" target="_blank" title="가루쌀 전용품종 ‘바로미2’ 종자생산 및 수발아 개선 우량계통 선발 새창에서 열림"> 가루쌀 전용품종 ‘바로미2’ 종자생산 및 수발아 개선 우량계통 선발
1474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0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벼 등숙기 고온으로 수량 및 품질 저하 우려, 지역, 지대, 생태형별 이앙적기 재설정 및 적응생태형 변동 평가 필요

▣ 성과

  • (생태형) 중간지, 중산간지 적응생태형 중만생종까지 확대 가능
  • (출수적기) 중북부지역 평균 7일, 지대에 따라 1∼15일 늦어짐 2
  • (재배적기) 지대별 이앙적기 기존 표준 재배지침 대비 2~26일 지연
중만생종 모내기 적기 변동
중만생종 모내기 적기 변동

▣ 파급효과

  • 기후변화 적응 벼 재배기술 개발을 통한 완전미율 제고로 농가소득 증대
" target="_blank" title="중북부지역 벼 적응생태형 변동 및 재배지대별 이앙적기 재설정 새창에서 열림"> 중북부지역 벼 적응생태형 변동 및 재배지대별 이앙적기 재설정
1473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콩 자주무늬병은 국가 규제비검역병으로, 발병 시 콩 재배농가에 심각한 피해초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병관리 및 방제 기술개발 필요

▣ 성과

  • 자주무늬병이 발생한 종자는 백립중과 발아율 감소
    • 이병종자 건전종자 대비 백립중이 최대 3.4%, 발아율 최대 28% 감소
  • 수집 균주의 84%가 아족시스트로빈에 내성 발생
자주무늬병 병징

▣ 파급효과

  • 콩 자주무늬병의 심각성 인지와 병 방제 중요성 교육으로 병 발생에 따른 콩 재배농가의 경제적 피해 감소
" target="_blank" title="콩 자주무늬병 발생에 따른 피해 분석과 약제 내성 발생 현황 구명 새창에서 열림"> 콩 자주무늬병 발생에 따른 피해 분석과 약제 내성 발생 현황 구명
1472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노지에서 밭작물 재배시 발생하는 잡초의 발생을 수치화·정량화하여 발생초기에 방제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영상을 활용한 분석 알고리즘 개발 필요

▣ 성과

  • RGB 영상기반 밭포장 잡초발생량 분석 인공지능 모델 개발
    • 콩, 옥수수 포장을 촬영한 RGB 영상을 전처리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데이터 생성
    • 원본영상 입력 → 잡초 제거된 영상 출력(인공지능 모델(U-Net)의 정확도는 90% ↑)
RGB 영상전처리 및 잡초발생량 수치화 모식도

▣ 파급효과

  • 노지 밭작물 잡초 조기방제 및 피해정량화 기술 적용 가능
    • 타작물의 학습데이터 구축을 통해 밭작물 잡초 조기방제 및 양수분 경합에 의한 피해정량화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
" target="_blank" title="인공지능 활용 밭 포장 잡초발생량 분석 기술 개발 새창에서 열림"> 인공지능 활용 밭 포장 잡초발생량 분석 기술 개발
1471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5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빵용 밀 가루 수요자는 단백질 14% 이상의 강력분용 신품종 요구

▣ 성과

  • (보급단계) 품종등록(2022년), 보급종 생산단계(2024년)
    • 재배단지 조성: (’21) 3개소 4ha -> (’22) 9개소 50ha -> (’23) 200ha
  • (농업형질) 성숙기가 빠른 적립계 다수성이고, 수발아(4.9%)에 강함
  • (품질특성) 단백질 함량(14%)과 글루텐함량(10.3%)이 높아 빵 만들기에 적합함
    • 제빵적성평가 : 식빵부피994ml(조경 804ml), 속질경도1.02N(조경 2.34N)
황금알 제빵적성 평가
황금알 제빵적성 평가

▣ 파급효과

  • 기존 빵용품종의 품질 한계를 뛰어 넘어 소비자 만족도 향상
" target="_blank" title="국내 최고급 빵용밀 ‘황금알’ 조기보급 새창에서 열림"> 국내 최고급 빵용밀 ‘황금알’ 조기보급
1470 2022 .list1 > li {font-size: 1.6rem;font-weight: bolder;color: #333;} .list2 > li {font-size: 1.4rem;font-weight: 400;color: #333;} .view_style {} .view_style h3 {padding: 5px 12px;font-size: 1.75rem;font-weight: 500;color: #003964;} .view_style .vimg {margin-left:180px;text-align:left;} .view_style .vimg img {}

▣ 연구 배경

  • 정부의 쌀 수급 안정 및 품질향상을 위한 ‘3低3高’ 운동 추진, 질소 감비재배 기술과 더불어 균형 있는 인산과 칼리 시비체계 마련 필요

▣ 성과

  • 질소 7kg/10a 감비 재배시 인산과 칼리 적정 시비량 추천
    • 인산과 칼리를 3-3kg/10a으로 감비재배 시 관행(4.5-5.7 kg/10a) 대비 쌀수량, 정상립 비율, 단백질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
    • 인산 1.5kg/10a, 칼리 2.7kg/10a 감비 가능
인산-칼리 시비수준에 따른 쌀수량

▣ 파급효과

  • 인산-칼리 비료시용량 감소에 따른 생산비 절감 및 농업 환경 보전
" target="_blank" title="중부평야지 질소 감비조건에서 인산·칼리 적정 시비량 추천 새창에서 열림"> 중부평야지 질소 감비조건에서 인산·칼리 적정 시비량 추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
ㆍ담당자 기획조정과 김연정 ㆍ문의전화 063-238-5141 ㆍ갱신주기 년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