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자정부로고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보그림

최고품질 쌀생산기술

작성자 : 조회수 : 2884 등록일 : 2009.11.04

최고품질 쌀생산기술 자세한 내용은 하단참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최고품질 쌀생산기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www.nics.go.kr

최고품질 쌀이란?
쌀알이 맑고 균일하며 밥맛이 좋으면서 영양가와 도정률이 높고 식품으로 안전한 쌀
-기호성(외관, 식미, 가공성 등)
-안전성(유해성분, 잔류농약 등)
-경제성(수량, 도정수율 등)
-영양성(단백질, 무기성분 등)
최고품질 쌀생산 핵심 기술
[품종선택]
-지역별 생태, 숙기, 재배 안정성을 고려하여 품종 선택
-지역추천 품종 중에서 출수기가 다른 2~3품종을 골고루 재배
-최고품질 품종으로 적극 대체
-신품종 재배 시 적응지역, 병해충 등 재배특성에 주의
[재배기술]
-적기이앙
-질소비료감비
-최소 병해충 방제
-적정 포기수 준수
-적정 물관리
-적기수확
[수확후 관리]
-계획 수매에 의한 산물벼 부패방지
-적정 건조 온도 준수
-저온저장
-품종별·수분별 구분저장
-완전미 도정
-도정후 1개월 이내 판매
[유통 및 홍보]
-생산이력관리시스템 구출 및 GAP(우수농산물관리제도)인증 획득 등 안전성 및 신뢰성 강화
-품질 특성 포장 표시 강화로 신뢰도 향상
-브랜드화·차별화로 인지도 향상 및 홍보 강화
세계 최고품질 쌀을 우리 손으로
인식변화, 실천의지, 정책지원 → 밥맛좋은 쌀, 친환경 쌀, 생산비 절감 → 세계최고품질 쌀 생산
아직도 오래된 품종이나 외래품종을 재배하십니까?
최고품질의 신품종을 소개합니다.
숙기가 빠르고 식은 밥도 맛있는 '운광벼'
-조생종
-초형 및 숙색이 좋음
-내냉성, 내도복성
-도열병,흰잎마름병)k1~k3)에 강함
-중북부 중간지, 남부 중산간지 및 고랭지 적응
-백미완전미율이 높고 찰기가 있음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운광벼: 벼키 60cm, 이삭수 14개, 벼알수 93개, 쌀수량 586kg/10a, 단백질 6.2%, 완전미율 96.4%
오대벼: 벼키 62cm, 이삭수 16개, 벼알수 74개, 쌀수량 541kg/10a, 단백질 7.1%, 완전미율 81.8%
*재배상 유의점
흰잎마름병 레이스 K1~K3에는 강하나 K2a에 약하므로 상습지재배는 피해야 하고 줄무늬잎마름병 등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를 하여야 합니다.
병해에 강하며 쌀 외관과 밥맛이 좋은 '고품벼'
-중생종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에 강함
-중부평야, 남부 중간지 및 중부 서해안 적응
-도정특성이 좋음
-단백질함량이 낮고 밥맛이 좋음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고품벼: 벼키 78cm, 이삭수 14개, 벼알수 104개, 쌀수량 548kg/10a, 단백질 6.1%, 완전미율 93.3%
화성벼: 벼키 83cm, 이삭수 14개, 벼알수 94개, 쌀수량 532kg/10a, 단백질 6.9%, 완전미율 93.2%
*재배상 유의점
수확기 잦은 강우 시 수발아가 발생되므로 적기에 수확하여야 합니다.
※숙기가 다른 2~3 품종 재배하여 병해충, 기상재해 경감 및 수확기 집중출하를 방지합시다.
복합내병성이며 밥이 차진 '삼광벼'
-중만생종
-2모작, 만식 적응성
-복합내병성(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중부평야 및 남부중간지 적응
-백미완전미율이 높음
-밥맛이 좋음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삼광벼: 벼키 87cm, 이삭수 15개, 벼알수 119개, 쌀수량 569kg/10a, 단백질 5.7%, 완전미율 94.5%
일품벼: 벼키 77cm, 이삭수 15개, 벼알수 119개, 쌀수량 553kg/10a, 단백질 6.4%, 완전미율 89.7%
*재배상 유의점
질소비료를 과용하면 쓰러질 위험성이 큽니다.
쓰러짐에 강하고 다수성이며 밥맛이 좋은 '호품벼'
-중만생종
-직립, 내도복성
-담수직파 적응성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K1~K3),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함
-충남북 이남 평야지 적응
-밥맛이 뛰어남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호품벼: 벼키 68cm, 이삭수 14개, 벼알수 105개, 쌀수량 600kg/10a, 단백질 6.5%, 완전미율 94.7%
남광벼: 벼키 79cm, 이삭수 14개, 벼알수 108개, 쌀수량 558kg/10a, 단백질 6.8%, 완전미율 96.4%
*재배상 유의점
흰잎마름병, 줄무늬마름병에는 강하나 기타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를 하여야 합니다.
쌀알이 맑고 투명하며 밥맛이 뛰어난 '칠보벼'
-중만생종
-단간, 내도복성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중부평야, 남부산간지 및 영남내륙평야 1모작지 적응
-도정률 및 완전미율 양호
-밥맛이 우수함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칠보벼: 벼키 76cm, 이삭수 18개, 벼알수 85개, 쌀수량 557kg/10a, 단백질 6.4%, 완전미율 92.5%
화성벼: 벼키 81cm, 이삭수 15개, 벼알수 92개, 쌀수량 515kg/10a, 단백질 6.4%, 완전미율 90.9%
*재배상 유의점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K1~K3), 오갈병과 검은줄 오갈병 및 해충에는 약하므로 상습발생지에는 피해야 합니다.
※품질이 낮은 품종은 최고품질 신품종으로 적극적으로 대체합시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밥맛도 좋은 '하이아미'
-중생종
-내냉성, 내도복성, 저온발아성
-중부평야 적응
-백미완전미율이 좋음
-필수 아미노산 고함유
*생육특성, 수량 및 미질 특성
하이아미: 벼키 83cm, 이삭수 13개, 벼알수 119개, 쌀수량 538kg/10a, 단백질 6.0%, 완전미율 93.5%
화성벼: 벼키 86cm, 이삭수 14개, 벼알수 101개, 쌀수량 535kg/10a, 단백질 6.3%, 완전미율 94.7%
*필수아미노산 구성 특성 (백미, mg/100g, '08 한국식품연구원)
하이아미: 히스티딘 165, 스레오닌 210, 발린 322, 메치오닌 176, 라이신 228, 이소로이신 226, 로이신 454, 페닐알라닌 318, 총계(지수) 2,107(131)
화성벼: 히스티딘 111, 스레오닌 164, 발린 251, 메치오닌 119, 라이신 158, 이소로이신 179, 로이신 371, 페닐알라닌 250, 총계(지수) 1,603(100)
*재배상 유의점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멸구류에 저항성이 없으므로 적기 기본방제를 해야 하며, 수확기 장마에 수발아 등이 우려되므로 적기 모내기 및 적기 수확을 하여야 합니다.
복합내병성이며 밥맛이 월등한 '진수미'
-중만생종
-복합내병성(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영남내륙평야 1모작지 적응
-도정 특성 양호
*생육, 수량 및 미질 특성
진수미: 벼키 85cm, 이삭수 14개, 벼알수 105개, 쌀수량 555kg/10a, 단백질 6.6%, 완전미율 96.6%
남평벼: 벼키 78cm, 이삭수 13개, 벼알수 126개, 쌀수량 555kg/10a, 단백질 6.4%, 완전미율 96.7%
*재배상 유의점
키가 큰 편이므로 질소질 비료는 반드시 표준량 이하로 주어야 하며, 멸구류에는 저항성이 없으므로 기본방제를 하여야 합니다.
최고품질 품종 주요 특성표
[운광벼]
숙기: 조생종, 쌀수량: 586kg/10a, 완전미율: 96.4%, 출수기: 7월31일, 벼키:60cm, 도열병: 강, 흰잎마름병: 강, 줄무늬잎마름병: 약, 벼멸구: 약, 적응지역: 중·북부 중간지, 남부중산간지 및 고랭지
[고품벼]
숙기: 중생종, 쌀수량: 548kg/10a, 완전미율: 93.3%, 출수기: 8월14일, 벼키: 78cm,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 강, 줄무늬잎마름병: 약, 벼멸구: 중약, 적응지역: 중부평야, 남부중간지 및 중서부해안
[상평벼]
숙기: 중만생종, 쌀수량: 589kg/10a, 완전미율: 94.5%, 출수기: 8월17일, 벼키: 87cm,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 강, 줄무늬잎마름병: 강, 벼멸구: 약, 적응지역: 중부평야 및 남부중간지
[호품벼]
숙기: 중만생종, 쌀수량: 600kg/10a, 완전미율: 94.7%, 출수기: 8월15일, 벼키: 68cm, 도열병: 중, 흰잎마름병: 강, 줄무늬잎마름병: 강, 벼멸구: 약, 적응지역: 충남북이남 평야지(충남북, 전남북, 경남북)
[칠보벼]
숙기: 중만생종, 쌀수량: 557kg/10a, 완전미율: 92.5%, 출수기: 8월15일, 벼키: 76cm,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 약, 줄무늬잎마름병: 강, 벼멸구: 약, 적응지역: 중부평야, 남부중산간지 및 영남 내륙평야 1모작지
[진수미]
숙기:중만생종, 쌀수량: 555kg/10a, 완전미율: 96.6%, 출수기: 8월15일, 벼키: 85cm,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 강, 줄무늬잎마름병: 강, 벼멸구: 약, 적응지역: 영남내륙평야 1모작지
[하이아미]
숙기: 중생종, 쌀수량: 538kg/10a, 완전미율: 93.5%, 출수기: 8월15일, 벼키: 83cm, 도열병: 중, 흰잎마름병: 약, 줄무늬잎마름병: 약, 적응지역: 중부평야
※ 지역별로, 숙기, 재배 안정성을 고려하여 품종 선택
최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법을 실천하고 계십니까?
핵심 재배기술을 반드시 실천합시다.
땅심 높이기
-논 특성에 맞춰 객토, 완숙퇴비 시용 및 녹비작물 재배
-급산질비료 사용
-가을갈이+봄갈이, 깊이갈이 실시
땅심이 높아야 비가 건실하게 자라 각종 기상재해, 견딤성, 병해충 저항성이 높아져 생산비가 줄어들고 등숙률이 높아져 수량과 쌀 품질이 향상됩니다.
균일하고 건실한 모 키우기
-볍씨 소금물가리기, 소독, 담그기(7일), 싹틔우기(1~2mm)를 실천
-키다리병 방제를 위해서는 약액온도 30℃로 48시간 종자소독 하거나 온탕침지소독(60℃, 10분) 해야 합니다.
적정 파종량 및 파종시기
-적정 파종량: 중립종 종묘산파 기준 130 g/상자
파종량이 많으면 모 키우기 중에 들뜬모, 뜸모, 잘록병, 키다리병 발생이 많아지고 모낸 후 초기생육이 불량하고 생육이 불균일 하여 병해충 발생이 증가합니다.
-부직포 육묘: 평균기온 16℃ 이상일 때(보통 4월 20일 이후)파종
부직포는 비닐보다 보온효과가 떨어져 너무 일찍 파종하면 뜸모, 잘록병 발생 등 육묘방해를 받을 우려가 있고, 부직포를 벗겼을 때 저온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습니다.
지역별 적정 이앙시기
-평야지 중만생종 기준
중부: 5.15 ~ 5.21
호남: 5.27 ~ 6.1
영남: 6.5 ~ 6.11
-너무 일찍 심으면 육묘할 때 냉해피해, 초기 생육지연, 후기 잡초 및 병해충 발생이 늘어나고 고온기 등숙에 따른 호흡증가로 쌀 품질이 떨어집니다.
-너무 늦게 심으면 벼알수 감소와 수확기 저온시 등숙이 불량하여 수량저하 및 심복백미 증가로 미질이 떨어집니다.
※적정 파종량과 이앙시기를 지켜야 수량과 품질이 좋아집니다.
적정 재식거리 및 밀도
-재식밀도 65~70 주/33m², 포기당 3~4본
배게 심으면 병해충 발생, 수량감소 및 품질이 나빠집니다.
질소비료 알맞게 주기
-7~9kg/10a 준수하고, 알거름은 주지 않음
질소비료를 기준량보다 많이 주면 도복 및 병해충 발생은 물론 완전미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쌀알의 외층에 단백질립이 쌓여 밥의 색, 향이 나빠지고 밥을 지을 때 수분 흡수 및 팽창이 잘 되지 않아 식감이 나빠집니다.
-앞그루로 맥류, 녹비작물을 재배 했을 때 시비량 줄여주기
잡초 및 병해충 방제
-지난해 잡초발생상태에 따라 제초제를 선택하여 토양처리제 1회, 경엽처리제 1회 체계처리하여 완전방제
제초제 효과를 높이려면 토양처리제는 처리 후 5일 이상 담수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경엽처리제는 물을 완전히 뺀 다음 살포하십시오.
-본논 후기 쌀 품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병해충 중점 방제
병: 이삭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개사무늬병, 이삭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등
해충: 벼멸구, 벼풀이구미, 노린재, 벼잎선충, 흑명나방 등
알맞은 물관리
-중간물떼기와 함께 출수 35일 후까지 물을 댐
일찍 물떼기를 하면 덜 익은 쌀이 증가하여 수량 및 완전미율이 감소됩니다.
적기 수확
-출수 후 조생종 50일(출수 후 적산온도 1150℃ 내외), 중생종 54일(1160℃), 중만생종 58일경(1180℃) 수확
수확시기가 빠르면 청미, 씨라기가 증가하고 늦으면 피해립, 등찰미가 증가하여 완전미율이 감소됩니다.
건조효율과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벼 수분함량 22~24%일 때 수확하십시오.
최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지역별 이앙기, 질소시비량 및 수확시기
[중부평야지] 조생종: 50일, 중생종: 53일, 중만생; 57일
중북부 평야지: 5.15~5.21, 9~10kg/10a
동북부 해안지: 5.10~5.31, 5~9kg/10a
중부 중간지: 5.8~5.14, 8~10kg/10a
중부 평야지: 5.15~5.21, 5kg/10a
중부 중산간지: 5.8~5.14, 5kg/10a
[영남평야지] 조생종: 50일, 중생종: 54일, 중만생: 58일
영남 중간지: 5.19~5.25, 8kg/10a
영남 중산간지: 5.10~5.17, 8~10kg/10a
영남 남조평지: 5.17~5.23, 8~9kg/10a
영남 평야지: 6.5~6.11, 8~9kg/10a
[호남평야지] 조생종: 52일, 중생종: 55일, 중만생: 60일
중부 해안지: 5.30~5.17, 11~13kg/10a
호남 평야지: 5.27~6.5, 7~9kg/10a
호남 해안지: 6.1~6.7, 13~19kg/10a
호남 중간지: 5.25~6.1, 8~9kg/10a
호남 남부평야지: 6.6~6.18, 9~10kg/10a
※ 8월은 비료 안 주는 달/콤바인 수확은 표준 작업 속도로
밥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벼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을 알고 계십니까?
핵심 수확 후 관리기술을 반드시 실천합시다.
건조
-물벼 수확시 조속히 건조: RPC 건조능력에 맞춰 계획을 세워 수대하고 건조지연이 예상되면, 수확기를 다소 늦추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품종별, 벼 함수율별로 구분하여 건조
-건조온도 45℃ 이하 준수: 급속 고온건조하면 동할미가 증가하고, 밥맛이 급속이 떨어집니다.
-건조 후 벼의 적정 함수율 15~16%
도정
-색채선별기와 입형분리기를 설치, 운영하여 완전미 생산
완전미란 백미를 170mm채로 쳐서 채위에 남아있는 쌀 중 피해립, 착색립, 이중곡립 사이 및 심복백미 등 불완전립을 제외한 모양이 완전한 쌀과 깨어진 쌀 중 그 깊이가 완전한 낱알 평균길이의 3/4 이상인 쌀을 말합니다.
저장
-건조한 벼는 충분히 열을 식힌 후 저장
-벼 수분함량 15~16℃로 저장
상온저장시 15%, 저온저장시 16%로 건조해야 합니다.
-준저온(15℃) 저장
저장온도 밥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저온 저장하여야 연중 균일한 밥맛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습도 70% 이하, 산소 5~7%, 탄소가스 3~5% 유지
벼 수분함량, 온도, 습도가 높으면 해충 및 미생물이 발생하며 호흡에 의해 양적, 질적 손실이 커집니다.
유통 및 홍보
-생산이력관리시스템 구축 및 GAP(우수농산물관리제도) 인증획득으로 안정성 확보와 소비자 신뢰성 제고
-좋은 밥맛 유지를 위해 도정 후 30일 이내의 쌀만 판매
-품질 특성 포장표시 강화
품종명, 순도, 완전미율, 단백질 함량 등 소비자에게 품질과 직결되는 정보 제공으로 품질 신뢰도를 높이고 우수성을 홍보합시다.
※완전미 가공과 저온 저장은 최고품질 쌀 생산의 기본이자 필수조건입니다.
농촌진흥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1 국립식량과학원 기술지원과
문의전화: 031)290-6807 팩스: 031)290-680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
ㆍ담당자 기획조정과 김연정 ㆍ문의전화 063-238-5141 ㆍ갱신주기 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