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표성과 20선 < 기관 안내 < 기관소개 < 국립식량과학원

대표성과 20선

> 기관소개 > 기관 안내 > 대표성과 20선
URL 복사 인쇄 폰트 크기 확대 폰트 크기 축소 네이버 블로그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개발) '03년부터 현재까지 최고품질 벼 18품종 개발
  •  엄격한 기준 적용에 의한 품종 개발 : 품질, 밥맛, 도정특성, 내병충성
  •  품종 개발수(누적) : ('03) 1품종('삼광') → ('07) 5 → ('12) 12 → ('18) 18
(보급) '18년 최고품질 벼 재배면적은 185.7천ha(25.2%)로 매년 증가 추세
  •  최고품질 벼 품종이 지역별 대표 브랜드 쌀로 정착되고 있는 단계
밥 맛 좋고 재배하기 쉬운 쌀 '최고품질 벼
(원천소재)고품질 쌀가루를 밀(小麥) 제분기로 생산 가능한 '수원542호' 개발
  •  (분질배유)밀 제분기로 고품질 쌀가루 생산가능 (특허 제10-1190642 : '12.10.)
  •  (지재권확보)분질배유 유전양상 규명에 따른 유전자 및 분자표지 특허출원
(품종개량)만기재배용 복합저항성 분질미, '가루미1', '가루미2' 육성분질미 쌀가루의 생산·가공 현장 활용성 인식 제고
  •  (생산농가) '분질미'라는 차별화 품목을 돌려짓기에 활용하여 농가 소득 증대
  •  (가공기업) 저렴한 건식 햅쌀가루로 소비자가 원하는 '신선식품' 제공
쌀가루 품종, 쌀 가공품 차별화를 가져오다
쌀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맞는 가공전용 품종 개발
  •  (품종) 세계적 수량성과 아밀로스 함량 조절을 통한 쌀의 가공 한계성 극복
    ☞ 세계최고 수량성(8.2MT/ha) + 아밀로스 함량(7~26.7%)
(산업화)가공전용 품종을 이용한 가공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국내산 쌀 가공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한 재배단지 조성
쌀 가공산업 이끄는 가공용 특수미
(육종체계)일방향(공급자 중심 : 기관중심)에서 양방향, 다방향으로 전환
  •  (기존) 육종기관 중심(공급자 중심, 일방향) → (변경) 육종기관, 지자체, 지역주민, 농업인, 농협RPC, 지역 가공업체 등(수요자 중심, 양방향/다방향)
(품종개발)수요자 맞춤형 고품질 벼('해들','알찬미') 및 찰옥수수('황금맛찰')
'22년 이천지역 외래품종(고시히카리, 추청 등) 100% 대체
명품브랜드 육성을 위한 '황금맛찰' 보급 확대 추진('19~'25)
국민 참여 현장 중심 연구로 맞춤형 품종개발의 꽃을 피우다
맛과 기능성, 내병충성 우수한 고구마 품종 개발
  •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기능성 소비 트렌드에 맞는 품종 개발
  •  소비자, 생산자가 선호하는 식미 우수 기능성 품종 개발
  •  고구마 수량, 상품성 저하의 주요 원인인 덩굴쪼김병, 뿌리혹선충에 강함
(품종 보급)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및 씨고구마 보급 확대
(유통질서 개선)고품질 고구마 품종 개발로 품종명 유통 분위기 확산
기능성 듬뿍, 맛 좋은 고구마, 다이어트에 최고
재배안정성, 다수성 및 가공적성이 강화된 잡곡 품종 개발·보급
  •  (팥) 최초 기계수확 '아라리', 싹나물용 '연두채', 팥차용 '홍다' 등
  •  (수수) 고항산화 '동안메', 다수성 찰수수 '남풍찰', 기계 수확 '소담찰' 등
  •  (조·기장 등) 내도복 조 '삼다찰', 수입대체 기장 '한라찰', 화훼용 손가락조 '핑거1호' 등
잡곡 수요확대를 위한 건강기능성 구명
  •  국내산 수수에서 혈당 강하 및 항혈전 효능 및 성분 동정
영양과 건강을 채우는 건강기능성 잡곡
중·북부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충북내륙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호남 산간지역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영남북부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장수군)명품 '청정한우' 생산을 위한 우리 조사료 품종 종자 자급체계 구축
(인제군)귀리 종자 자급률 향상을 위한 친환경 채종단지 조성
맞춤형 조사료 연중생산으로 축산농가 웃는다
수요자 맞춤형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유지작물 경쟁력 확보
  •  (참깨) 역병에 강한 '건백', 최고 수량성(123kg/10a) '금옥' 개발
  •  (들깨) 수량 및 기름 함량이 높은 '들샘', 소분지 가루용 '들향'
  •  (땅콩) 최고수량 (540kg/10a) '신팔광', 고올레산(83%) '케이올'
유지작물의 기능성 구명을 통한 식품·산업소재의 고부가가치 향상
  •  고올레산(83%) 케이올 땅콩의 혈중 지질개선 및 비만 감소
  •  들기름 (오메가-3, 60%)의 뇌 인지능 개선 효능 규명
혈관 청소하는 '유지작물 3총사(참깨, 들깨, 땅콩)'
기계화에 적합한 가공용도별 콩 품종개발
  •  탈립·내도복·고위 착협성 증진으로 콤바인 기계수확 가능
논 콩 기계화 재배 적응성이 높은 콩 품종 선발
  •  수량성과 병저항성이 우수한 장류·두부용 품종 '선풍' 및 '대찬'
논콩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종자 보급 확대
논콩 재배가 증가하면서 논콩재배에 보다 적합한 '대찬', '선풍' 등의 신품종 수요 증가
콩 재배는 기계화·논적응 품종으로 쉽고 안정적으로!
주요 밭작물 전과정 기계화 표준재배법 확립
  •  7개 작물 완료('14~'18) : 콩, 팥, 참깨, 조, 수수, 기장, 들깨 / 땅콩('19 완료)
밭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육묘 기계정식 재배기술 개발('17~'18)
  •  기계정식 적합 적정 상토 선발 등 육묘기술 개발
  •  밭작물용 트레이 육묘 기계정식 적합성 검정
주요 밭작물 논 재배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18)
  •  논 콩 기계수확을 위한 밀식재배 최대생산 기술 개발
기계화 및 PLS 대응 밭작물 제초제 농약등록 직권시험('18)
  •  팥, 수수 등 6작물 대상 비선택성 제초제 약효·약해시험
밭작물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 노동력 절감 '톡톡'
논의 범용화를 위한 트랙터 부착형 저비용 무굴착 암거배수 기술 개발
트랙터 부착형 무굴착 암거배수관 매설기 개발('17, 특허출원)
관·배수기능 겸비한 지하수위 제어시스템 개발('18, 특허출원)
노지 밭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중점적 자동관개 기술 개발
트랙터 부착형 지중점적관 매설기 개발('17, 특허출원)
ICT 기반 지중점적 자동관개 시스템 개발('18, 특허등록, 기술이전)
밭작물 재배도 스마트 시대, 물관리가 쉬워진다
유색보리 이용 소비자 맞춤형, 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  자색 및 청색보리 품종 : '자수정찰'('06), '보석찰'('08), '강호청'('09)
  •  검정보리 품종 : '흑누리'('11), '흑광'('14), '흑수정찰'('14), '흑다향'('15)
유색보리의 기능성 음료 및 식품 개발 산업화 체계 구축
  •  산업체 생산현황 : 청맥, 호남산업 등 2개 업체, 블랙보리 등 4제품
  •  「블랙보리」 음료 누적 매출액 : ('17) 15억 → ('19) 930
보리 원료곡 및 계약재배 단지 조성 : 고창, 해남 등 3지역 550ha
  •  삼색보리 및 검정보리 : '흑누리', '강호청', '보석찰'(자수정찰) 및 '흑수정찰'
보기 좋은 색깔 보리가 기능성도 우수, 맛도 우수
가공업체와 농업인 연계 맞춤형 품종 개발
'백강' 빵용, '새금강' 국수용, '고소' 과자용, '백찰' 취반용
수입밀과 차별화를 위한 기능성 밀 품종개발
  •  세계 최초 Non-GMO 알레르기 저감 밀 '오프리' 개발('17)
국산밀 경쟁력 강화 및 품질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간편 밀 품질분석기술(NIR 이용) 개발 : 품질평가 시스템 현장 보급
  •  수입밀과 차별화를 위한 밀 품종판별 마커 개발 *32품종 판별마커
소비자가 원하는 밀 품종과 가공기술 개발로 소비자에게 다가간다!
'한국형 100% 쌀 요거트' 개발
  •  쌀 요거트는 일반 유산균 발효물에 비해 총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라이신 함량은 12배, 가바함량은 4.6배 더 많음
저항전분 고함유 '도담쌀' 이용 다이어트 소재화 기술 개발
  •  도담쌀의 저항전분이 가공후에도 많이 함유되는 가공기술 개발과 이를 통한 식품소재로 활용을 높임
건식 쌀가루 품종 '신길'을 이용한 최적 쌀점토 제조 기술 개발
  • 점토 끈적임 감소, 경도·부착성 최적 밸런스 구명
쌀의 무한한 변신, 쌀 소비 확대의 한 축을 담당한다
새싹보리 이용 간 기능 개선 유효성분 구명 및 건기식 허가 추진
  •  유효성분 : 사포나린(1,510mg/건물 100g), 폴리코사놀(342mg/100g)
  •  기능성 : 알콜성 간 손상 개선 *헛개나무 1.8배 밀크씨슬 1.5배 우수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갱년기 여성건강 개선 효능 구명 및 임상시험 완료
  •  유효성분 : 소야사포닌(420mg/g, 추출물)
  •  기능성 :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식량작물 건강기능식품 소재개발로 상생협력
시험연구기술 반영 식량작물 분야 신기술보급사업 추진
  •  벼, 밭작물 생력재배 및 ICT 개발 기술 투입 및 현장 확산
종자분양체계 포함되지 않는 신육성 우량품종 조기보급
  •  특수미, 기능성 및 소면적 작물 품종의 조기 확산 기반 조성
  •  최근 3년간 벼, 밭작물 409 품종 76,327kg 보급, 1,564ha 확산재배
개발기술 반영 시범사업 추진 상품개발 및 산업화 기반 조성
내 손안에 농업기술, 전국에 심기는 우리 종자
(모형개발)big data 기반 작물생육모형 활용 전국 작황 모의기술 개발
  •  Oryza2000(국제미작연구소)을 도입, 수량 관련 모듈 등 추가 및 개선
(실용성 향상)신뢰성 있는 조기 예측 기술 확립을 통한 활용도 제고
  •  조기 예측을 위한 기상학적 불확실성 최고화 방법 개발
(기술서비스)쌀시장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정책결정에 활용
  •  조기 예측기술을 활용한 기상에 따른 국내 쌀 작황 자료 생성
세계수준 벼 조기 예측 기술, 정확도에서 앞서가다
주요 밭작물 병 저항성 대량검정법 개발 및 품종 선발
  •  (콩)역병 등 3 (참깨)역병 1, (고구마)흰비단병 등 2 (감자)바이러스병 등 2종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병해충 발생 모니터링 및 방제법 개발
  •  맥류 붉은곰팡이병 정기적 모니터링 및 독소 분석을 통한 예찰 자료 확보
메타전사체 분석을 통한 식량작물 바이롬 분석 및 진단법 개발
  •  지역별 우점 바이러스 분석 및 미보고·신규 바이러스병 동정
병해충 관리의 시작, 동정.방제 기술 개발
「종자신분증」은 주민등록증처럼 종자의 신분증 형태로 최초 도입
  •  표현방식 : 이름-품종명, 얼굴-식물체(종자,꽃), 지문-유전형 바코드
  •  대상작물 : 주요 농작물(콩 및 메밀 등) 품종 및 유전자원
  •  식별원리 : 품종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유전·표현·유용성분정보를 종합해 식별
(프로그램)품종 식별 관리 프로그램 개발 → 99.9% 정확히 식별
(QR 코드)스마트폰 QR 스캔으로 실시간 정보 확인
콩·메밀 종자 특성과 유전정보 『종자신분증』에 담다
(기술개발)수경시스템·전용배양액 개발, 무병식물체·망실재배 확립('00~'18)
  •  원천기술 특허등록(2건), 국제저명학술지 보고(Potato Res. 등 7건)
    ☞ 씨감자 생산 국가표준방식 확립 및 불량환경 극복기술 개발을 통한 씨감자 안정생산
(정책개발)개발된 기술을 국가 표준정책으로 채택·활용('98~'17)
  •  수경재배기술 : 1998년부터 국가 씨감자 생산기술로 정착·활용(정책시행)
  •  신품종 채종/공급/분양제도 및 씨감자 수매/검사기준 개선 등 10건
세계로 뻗어가는 '씨감자 생산기술'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점주기

담당자: 기획조정과 김현영

문의전화: 063-238-5122

갱신주기: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