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성과 20선
홈
> 기관소개
> 기관 안내
> 대표성과 20선
- (개발) '03년부터 현재까지 최고품질 벼 18품종 개발
-
- 엄격한 기준 적용에 의한 품종 개발 : 품질, 밥맛, 도정특성, 내병충성
- 품종 개발수(누적) : ('03) 1품종('삼광') → ('07) 5 → ('12) 12 → ('18) 18
- (보급) '18년 최고품질 벼 재배면적은 185.7천ha(25.2%)로 매년 증가 추세
-
- 최고품질 벼 품종이 지역별 대표 브랜드 쌀로 정착되고 있는 단계
- (원천소재)고품질 쌀가루를 밀(小麥) 제분기로 생산 가능한 '수원542호' 개발
-
- (분질배유)밀 제분기로 고품질 쌀가루 생산가능 (특허 제10-1190642 : '12.10.)
- (지재권확보)분질배유 유전양상 규명에 따른 유전자 및 분자표지 특허출원
- (품종개량)만기재배용 복합저항성 분질미, '가루미1', '가루미2' 육성분질미 쌀가루의 생산·가공 현장 활용성 인식 제고
-
- (생산농가) '분질미'라는 차별화 품목을 돌려짓기에 활용하여 농가 소득 증대
- (가공기업) 저렴한 건식 햅쌀가루로 소비자가 원하는 '신선식품' 제공
- 쌀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맞는 가공전용 품종 개발
-
- (품종) 세계적 수량성과 아밀로스 함량 조절을 통한 쌀의 가공 한계성 극복
☞ 세계최고 수량성(8.2MT/ha) + 아밀로스 함량(7~26.7%)
- (산업화)가공전용 품종을 이용한 가공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 국내산 쌀 가공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한 재배단지 조성
- (육종체계)일방향(공급자 중심 : 기관중심)에서 양방향, 다방향으로 전환
-
- (기존) 육종기관 중심(공급자 중심, 일방향) → (변경) 육종기관, 지자체, 지역주민, 농업인, 농협RPC, 지역 가공업체 등(수요자 중심, 양방향/다방향)
- (품종개발)수요자 맞춤형 고품질 벼('해들','알찬미') 및 찰옥수수('황금맛찰')
- '22년 이천지역 외래품종(고시히카리, 추청 등) 100% 대체
- 명품브랜드 육성을 위한 '황금맛찰' 보급 확대 추진('19~'25)
- 맛과 기능성, 내병충성 우수한 고구마 품종 개발
-
-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기능성 소비 트렌드에 맞는 품종 개발
- 소비자, 생산자가 선호하는 식미 우수 기능성 품종 개발
- 고구마 수량, 상품성 저하의 주요 원인인 덩굴쪼김병, 뿌리혹선충에 강함
- (품종 보급)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및 씨고구마 보급 확대
- (유통질서 개선)고품질 고구마 품종 개발로 품종명 유통 분위기 확산
- 재배안정성, 다수성 및 가공적성이 강화된 잡곡 품종 개발·보급
-
- (팥) 최초 기계수확 '아라리', 싹나물용 '연두채', 팥차용 '홍다' 등
- (수수) 고항산화 '동안메', 다수성 찰수수 '남풍찰', 기계 수확 '소담찰' 등
- (조·기장 등) 내도복 조 '삼다찰', 수입대체 기장 '한라찰', 화훼용 손가락조 '핑거1호' 등
- 잡곡 수요확대를 위한 건강기능성 구명
-
- 국내산 수수에서 혈당 강하 및 항혈전 효능 및 성분 동정
- 중·북부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 충북내륙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 호남 산간지역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 영남북부지역 맞춤 조사료 연중생산 작부체계
- (장수군)명품 '청정한우' 생산을 위한 우리 조사료 품종 종자 자급체계 구축
- (인제군)귀리 종자 자급률 향상을 위한 친환경 채종단지 조성
- 수요자 맞춤형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유지작물 경쟁력 확보
-
- (참깨) 역병에 강한 '건백', 최고 수량성(123kg/10a) '금옥' 개발
- (들깨) 수량 및 기름 함량이 높은 '들샘', 소분지 가루용 '들향'
- (땅콩) 최고수량 (540kg/10a) '신팔광', 고올레산(83%) '케이올'
- 유지작물의 기능성 구명을 통한 식품·산업소재의 고부가가치 향상
-
- 고올레산(83%) 케이올 땅콩의 혈중 지질개선 및 비만 감소
- 들기름 (오메가-3, 60%)의 뇌 인지능 개선 효능 규명
- 기계화에 적합한 가공용도별 콩 품종개발
-
- 탈립·내도복·고위 착협성 증진으로 콤바인 기계수확 가능
- 논 콩 기계화 재배 적응성이 높은 콩 품종 선발
-
- 수량성과 병저항성이 우수한 장류·두부용 품종 '선풍' 및 '대찬'
- 논콩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종자 보급 확대
- 논콩 재배가 증가하면서 논콩재배에 보다 적합한 '대찬', '선풍' 등의 신품종 수요 증가
- 주요 밭작물 전과정 기계화 표준재배법 확립
-
- 7개 작물 완료('14~'18) : 콩, 팥, 참깨, 조, 수수, 기장, 들깨 / 땅콩('19 완료)
- 밭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육묘 기계정식 재배기술 개발('17~'18)
-
- 기계정식 적합 적정 상토 선발 등 육묘기술 개발
- 밭작물용 트레이 육묘 기계정식 적합성 검정
- 주요 밭작물 논 재배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18)
-
- 논 콩 기계수확을 위한 밀식재배 최대생산 기술 개발
- 기계화 및 PLS 대응 밭작물 제초제 농약등록 직권시험('18)
-
- 팥, 수수 등 6작물 대상 비선택성 제초제 약효·약해시험
- 논의 범용화를 위한 트랙터 부착형 저비용 무굴착 암거배수 기술 개발
- 트랙터 부착형 무굴착 암거배수관 매설기 개발('17, 특허출원)
- 관·배수기능 겸비한 지하수위 제어시스템 개발('18, 특허출원)
- 노지 밭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중점적 자동관개 기술 개발
- 트랙터 부착형 지중점적관 매설기 개발('17, 특허출원)
- ICT 기반 지중점적 자동관개 시스템 개발('18, 특허등록, 기술이전)
- 유색보리 이용 소비자 맞춤형, 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
- 자색 및 청색보리 품종 : '자수정찰'('06), '보석찰'('08), '강호청'('09)
- 검정보리 품종 : '흑누리'('11), '흑광'('14), '흑수정찰'('14), '흑다향'('15)
- 유색보리의 기능성 음료 및 식품 개발 산업화 체계 구축
-
- 산업체 생산현황 : 청맥, 호남산업 등 2개 업체, 블랙보리 등 4제품
- 「블랙보리」 음료 누적 매출액 : ('17) 15억 → ('19) 930
- 보리 원료곡 및 계약재배 단지 조성 : 고창, 해남 등 3지역 550ha
-
- 삼색보리 및 검정보리 : '흑누리', '강호청', '보석찰'(자수정찰) 및 '흑수정찰'
- 가공업체와 농업인 연계 맞춤형 품종 개발
- '백강' 빵용, '새금강' 국수용, '고소' 과자용, '백찰' 취반용
- 수입밀과 차별화를 위한 기능성 밀 품종개발
-
- 세계 최초 Non-GMO 알레르기 저감 밀 '오프리' 개발('17)
- 국산밀 경쟁력 강화 및 품질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 간편 밀 품질분석기술(NIR 이용) 개발 : 품질평가 시스템 현장 보급
- 수입밀과 차별화를 위한 밀 품종판별 마커 개발 *32품종 판별마커
- '한국형 100% 쌀 요거트' 개발
-
- 쌀 요거트는 일반 유산균 발효물에 비해 총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라이신 함량은 12배, 가바함량은 4.6배 더 많음
- 저항전분 고함유 '도담쌀' 이용 다이어트 소재화 기술 개발
-
- 도담쌀의 저항전분이 가공후에도 많이 함유되는 가공기술 개발과 이를 통한 식품소재로 활용을 높임
- 건식 쌀가루 품종 '신길'을 이용한 최적 쌀점토 제조 기술 개발
-
- 점토 끈적임 감소, 경도·부착성 최적 밸런스 구명
- 새싹보리 이용 간 기능 개선 유효성분 구명 및 건기식 허가 추진
-
- 유효성분 : 사포나린(1,510mg/건물 100g), 폴리코사놀(342mg/100g)
- 기능성 : 알콜성 간 손상 개선 *헛개나무 1.8배 밀크씨슬 1.5배 우수
-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갱년기 여성건강 개선 효능 구명 및 임상시험 완료
-
- 유효성분 : 소야사포닌(420mg/g, 추출물)
- 기능성 :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 시험연구기술 반영 식량작물 분야 신기술보급사업 추진
-
- 벼, 밭작물 생력재배 및 ICT 개발 기술 투입 및 현장 확산
- 종자분양체계 포함되지 않는 신육성 우량품종 조기보급
-
- 특수미, 기능성 및 소면적 작물 품종의 조기 확산 기반 조성
- 최근 3년간 벼, 밭작물 409 품종 76,327kg 보급, 1,564ha 확산재배
- 개발기술 반영 시범사업 추진 상품개발 및 산업화 기반 조성
- (모형개발)big data 기반 작물생육모형 활용 전국 작황 모의기술 개발
-
- Oryza2000(국제미작연구소)을 도입, 수량 관련 모듈 등 추가 및 개선
- (실용성 향상)신뢰성 있는 조기 예측 기술 확립을 통한 활용도 제고
-
- 조기 예측을 위한 기상학적 불확실성 최고화 방법 개발
- (기술서비스)쌀시장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정책결정에 활용
-
- 조기 예측기술을 활용한 기상에 따른 국내 쌀 작황 자료 생성
- 주요 밭작물 병 저항성 대량검정법 개발 및 품종 선발
-
- (콩)역병 등 3 (참깨)역병 1, (고구마)흰비단병 등 2 (감자)바이러스병 등 2종
-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병해충 발생 모니터링 및 방제법 개발
-
- 맥류 붉은곰팡이병 정기적 모니터링 및 독소 분석을 통한 예찰 자료 확보
- 메타전사체 분석을 통한 식량작물 바이롬 분석 및 진단법 개발
-
- 지역별 우점 바이러스 분석 및 미보고·신규 바이러스병 동정
- 「종자신분증」은 주민등록증처럼 종자의 신분증 형태로 최초 도입
-
- 표현방식 : 이름-품종명, 얼굴-식물체(종자,꽃), 지문-유전형 바코드
- 대상작물 : 주요 농작물(콩 및 메밀 등) 품종 및 유전자원
- 식별원리 : 품종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유전·표현·유용성분정보를 종합해 식별
- (프로그램)품종 식별 관리 프로그램 개발 → 99.9% 정확히 식별
- (QR 코드)스마트폰 QR 스캔으로 실시간 정보 확인
- (기술개발)수경시스템·전용배양액 개발, 무병식물체·망실재배 확립('00~'18)
-
- 원천기술 특허등록(2건), 국제저명학술지 보고(Potato Res. 등 7건)
☞ 씨감자 생산 국가표준방식 확립 및 불량환경 극복기술 개발을 통한 씨감자 안정생산
- (정책개발)개발된 기술을 국가 표준정책으로 채택·활용('98~'17)
-
- 수경재배기술 : 1998년부터 국가 씨감자 생산기술로 정착·활용(정책시행)
- 신품종 채종/공급/분양제도 및 씨감자 수매/검사기준 개선 등 10건
담당자: 기획조정과 김현영
문의전화: 063-238-5122
갱신주기: 변경시